가. 숙박(Housing)
온라인사기 (숙소계약)를 주의하십시오. 숙소 Share를 구할 때 먼저 돈을 구좌에 송금하라고 할 때 특히 주의하시고 방을 직접 보고 소정계약과 함께 면전에서 보증금 (Bond)을 지불을 하는 것이 상례입니다.
이와 관련 호주에서 많은 한국 워홀러들의 피해발생이 자주 있습니다.
▣ Backpackers (호주에서는 호스텔을 백패커라고 부름)
ㅇ 공항 로비 중앙에 Backpacker Information Desk : 각 Backpacker 호스텔로 직접 연결되는 전화 무료 이용 가능
ㅇ City 내에서도 저렴한 Backpacker를 구할 수 있음
ㅇ 성수기 (3월, 12월, 1월)에는 예약이 어렵고 가격이 비쌈 (사전 예약필수)
ㅇ 1박 AU$20~35가 일반적임
ㅇ Dormitory 형식의 방에서 6명~12명 생활
ㅇ 세면장, 샤워실, 화장실, 주방, 휴게실 등 남녀 구분 없이 공동 사용
ㅇ 주의점 : 여러 사람이 한 방에서 생활하므로 배낭이나 짐에 항상 자물쇠를 채워두고, 귀중품 관리에
각별히 신경을 써야 함
※ Bed Bug, Redback Spider 조심 (침대 사용 시)
▣ 백팩커 사이트 (www.vipbackpackers.com)
ㅇ 시드니
- Big Hostel : http://www.bighostel.com
- Balmain Backpackers
- Boardrider Backpackers : http://www.boardrider.com.au
- Sydney Backpackers : http://www.sydneybackpackers.com
ㅇ 멜버른
- Flinders Station Hostel : http://www.flindersbp.com.au
- Melbourne International Backpackers : http://www.mibp.com.au
- Hotel Bakpak : http://www.bakpakgroup.com
ㅇ 브리즈번
- Valley Verandas
- Palace Backpackers : http://www.stayatbase.com
- Prince Consort Backpackers : http://www.princeconsort.com.au
ㅇ 애들레이드
- My Place
- Canon St. Backpackers
- Hostel 109
ㅇ 케언스
- Calypo Inn
- Caravella Backpackers Resorts
- Castaway’s Backpackers : http://www.castawaysbackpackers.com.au
- Kola Resort
ㅇ 골드코스트
- Surfer’s Paradise backpackers
- Surf N Sun Beachside Backpackers : http://www.surfnsun-goldcoast.com
ㅇ 퍼스
- The Old Swan Barracks : http://www.theoldswanbarracks.com
- Coolibah Lodge Backpackers : http://www.coolibahlodge.com.au
ㅇ 호바트
- Central City Backpackers : http://www.centralbackpackers.com.au
- Andys Backpackers Hoste l: http://www.andysbackpackers.com
▣ House Share (쉐어하우스)
ㅇ 한 집에서 6명~10명 모여 살면서 집세를 공동 부담
ㅇ 한국인 사이에 널리 알려져 있고 인터넷이나 현지 교민잡지를 통해 구할 수 있음
ㅇ City 내 가격은 현재 주당 AU$120~150
ㅇ 주의점 : 함께 사는 사람들의 신원 확인 필요
너무 많은 인원이 한 집에 살지는 않는 지 사전 확인 필요
(한국인 셰어하우스에서는 거실, 베란다도 많이 이용됨)
ㅇ 셰어하우스 정보사이트
- http://www.realestate.com.au
▣ Homestay (홈스테이)
ㅇ 호주 일반가정에서 숙식을 제공하는 일종의 하숙생활
ㅇ 장점 : 현지인과 영어를 사용하며 가족의 일원으로서 현지 문화를 체험
ㅇ 단점 : 가격이 비싸고 생활이나 행동에 제약이 있음 (샤워, TV 사용 등)
ㅇ 주의점 : 문화와 생활방식,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주고 식사를 거르거나 외박 시 미리 통보
ㅇ 홈스테이 사이트 : http://www.homestayfinder.com/SearchHost.aspx?country=AU
▣ Rent House
ㅇ 본인의 이름으로 집을 계약하고 거주함
ㅇ 시드니에서는 거의 렌트가 어렵고 도시 외곽 등 여타 지역에서는 3개월 단위로 집을 구할 수 있음
ㅇ 집 계약 시 4주 치의 Bond와 2주 치의 집세를 미리 지불함
ㅇ 주의점 : 계약절차 및 행정처리 주의, 시설 및 가구 구비 여부,
입주 시 주택상태 보고서 (Entry Condition Report) 확인 필요
ㅇ 카펫을 더럽히거나 벽에 못을 박지 않도록 유의
ㅇ 렌트하우스 사이트
나. 휴대전화 및 인터넷 사용 관련
▣ 휴대전화 (Mobile Phone)
ㅇ 호주 휴대폰 방식
- 호주 휴대폰의 경우 우리나라와는 달리 GSM 방식의 휴대폰을 이용. 한국에서 이용하던 휴대폰을 그대로 로밍해서 이용
가능하나 수수료가 많이 지불될 수 있음.
- 따라서, 우리의 선불결제 교통카드처럼 미리 사용할 수 있는 금액만큼만 충전하는 선불결제 휴대폰 (Pre-paid)을
주로 이용.
- 선불결제 휴대폰의 경우 통화 요금도 저렴하며 기본요금도 없고 본인이 사용할 만큼의 통화요금만 미리 충전시켜 이용하
기 때문에 현지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음.
ㅇ 주 통신사
- OPTUS, TELSTRA, VODAFONE 등의 통신 회사가 있음.
ㅇ 요금제 (OPTUS의 경우)
- 선불제 (Turbo Cap 요금제) : 기본료 $30 충전 = 총 $300 충전, 데이터 요금 500MB 제공, 소셜 네트워크 (facebook,
twitter 무제한), 유효기간 30일
※ 기타 요금제 : Crew Cap 요금제, $2 Days 무제한 요금제, Long expire cap 요금제, International Zone A 요금제
※ 요금제는 통신사의 정책에 따라 자주 바뀌므로 그때그때 확인 필요
- 후불제 : 후불결제 하는 요금제가 있으나, 현지인이 아닌 유학생이 이용하기에는 요금이 비쌀뿐더러, 개통하기 위한
절차가 선불결제 휴대폰보다 복잡함.
ㅇ 호주 선불폰 (Pre-paid) 만들기
- 기기 구매
• 기기는 보통 $100 내외로 구매 가능하며, 기기 도난 사고가 많기 때문에 비싼 휴대폰은 구입할 필요가 없음.
※ 한국에서 사용하던 스마트폰을 그대로 사용 가능. 단, 일부 기종은 Country Lock 해제 필요
- SIM 카드 장착
• 호주 휴대폰은 SIM 카드라는 칩을 구매하여 휴대폰에 장착 후 이용이 가능하며, 간혹 중고로 호주 휴대폰을 구매할 경우
휴대폰 마지막 사용일이 1달 이상이라면 현지에서 SIM 카드를 별도로 다시 구매해야 할 수도 있음
(SIM 카드의 경우 사용을 하지 않은 채로 오래 놔두면 정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다시 이용이 어려움)
- 개통 절차
• 호주 휴대폰 대리점은 우리와 다르게 개통을 직접 해주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통신사 고객센터나 인터넷 사이트를
통해 개통해야 함.
- 충전카드 구입하기
• SIM 카드만 구매했거나 이용 중 충전 잔액이 떨어졌을 때에는 발신이 되지 않으며, 이때에는 별도로 충전카드
(recharge card)를 구매해서 충전 후 이용해야 함. 카드는 길거리 가판대나 편의점, 대리점 등에서 손쉽게 구입이
가능하나, 반드시 본인의 통신사 충전카드로 구입해야 함을 명심해야 함.
- 충전카드로 잔액 충전하기
• OPTUS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에서 555 통화버튼 + Option 2선택 → 충전카드에 기재된 충전번호 (10자리) 입력
▣ 인터넷 (Internet)
호주에서는 사용시간과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인터넷 사용요금이 부과되는 인터넷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음
ㅇ ADSL : ADSL 가격은 어떤 옵션 (Monthly Plans)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, 속도와 용량제한, 공동 사용자 수
등에 따라 여러 가지 옵션이 있음.
초기 ADSL은 각 ISP 별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으로 신청 가능함 (보통 2주 이내에 설치해줌).
신청 전에 자신이 사는 집이 ADSL이 가능한지를 꼭 먼저 확인해 봐야 함
(ISP 홈페이지에서 전화번호만 넣는 것으로 간단히 알아볼 수 있음).
ㅇ NBN : National Broad Band. 최근 광랜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아직 설치가 가능한 지역은
한정적임. ADSL과 마찬가지로 각 ISP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나 대기 시간은 좀 더 걸릴 수도 있음.
ㅇ 인터넷 신청은
http://www.tpg.com.au/ (가장 많이 이용)
ㅇ ADSL 설치는 직접 할 수 있다면 Start Kit만 주문해서 직접 해도 됨 (Self -Installation). 직원이 직접 집으로 와서 설치
(Professional Installation)를 해주는 것도 가능하나 돈을 더 내야 함 (설치 & 테스트비).
Start Kit을 주문하면 ADSL 모뎀 (있는 경우는 안 사도 됨)과 in-line filter, 설명서 등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우편으로
보내주며, 일반 phone line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집에 있는 일반 전화 회선을 ADSL이 사용 가능하도록
activate 시키는데 대략 일주일 정도가 걸림.
ㅇ NBN의 경우, 집안에 별도 광케이블 단자를 벽에 구멍을 뚫고 설치해야 하므로 렌트한 집인 경우 반드시 집주인에게
허락을 받은 후 신청하는 것이 좋음. 그렇지 않고 임의로 설치했다가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
수리비를 물어내야 할 수도 있음.
ㅇ 업체와 각 플랜에 따라서 다운로드 제한 (limit) 초과 시 돈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고, 스피드를 40~50kbps로 떨어뜨리는
곳도 있음. 가입 전에 여러 가지 condition들을 확인해야 함.
ㅇ 피씨방 : 시드니 지역은 시간당 A$2 내외, 브리즈번, 멜번은 A$5 내외, 애들레이드는 A$1~8 내외이며, 호바트에서는
A$20까지 다양함.
ㅇ LAN : 대개 학교 기숙사에는 LAN선이 깔려 있으며, 학교 기숙사 말고 Unilodge 등 여러 학교 학생들이 모여사는 아파트
등에는 LAN 시설이 있는 곳이 많음.
방 혹은 거실까지 LAN선이 들어와 있어서 별도의 설치 없이도 관리실에서 ID를 받아 그냥 쓰면 됨
다. 은행 계좌 개설
※ 은행에서 실적을 위해 제안하는 상품 (담당자 설명요청, 인터넷 뱅킹 신청 등)에 현혹되지 말고 본인의 목적과 효율적인 금전관리에 맞는 계좌 선택 권장
▣ 준비서류
- 여권원본, 본인거주지가 증명되는 우편물 (전화 고지서 등), 연락처 및 입금액
▣ 주요거래은행
ㅇ Commonwealth Bank : www.commbank.com.au
-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은행으로 지점의 네트워크가 호주 최대이기 때문에 이용이 가장 용이하며 장기간 여행의
경우도 권장됨
ㅇ ANZ Bank : www.anz.com
- 유학생들이 Commonwealth Bank와 함께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은행임.
ㅇ Westpac Bank : www.westpac.com.au
ㅇ National Australian Bank (NAB) : www.nab.com.au
ㅇ St George : www.stgeorge.com.au
※ 한국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왔더라도 호주에서 다시 은행을 방문하여 카드 신청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호주에서 계좌 발급을 권장
▣ 은행계좌종류 : Commonwealth Bank의 경우
ㅇ 저축 계좌 (Savings Account)
- GoalSaver
• GoalSaver 계좌는 기본 이자에 더하여 보너스 이자를 받을 수 있어, 저축 예금을 강화해주는 계좌임. 한 달에 최소 $200 잔고를 증가하고 한번만 예금, 인출이 가능. 저축하고자 하는 금액과 날짜를 정하면 나머지는 은행에서 처리해 주며, 언제라도 원한다면 예금 계획을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함
• GoalSaver 계좌를 다른 Commonwealth Bank 계좌와 연결하여 넷뱅크, 폰뱅킹 또는 현금인출기를 통해 쉽게 돈을
찾거나 자금을 이체할 수 있음.
ㅇ 일상 은행 업무 (Everyday Banking)
- 스트림라인 Smart-액세스
• 통상 유학생들은 Smart Access 계좌를 가장 많이 이용하며, 매달 계좌 유지비 $4을 지불하면, Commonwealth의
현금인출기, EFTPOS (현금카드 결제), 넷뱅크 및 혼자서 하는 폰뱅킹 사용을 추가비용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음.
또한 현금인출기나 EFTPOS의 이용을 위해 Commonwealth Bank의 카드 (EFTPOS card)를 수령하게 됨
- Commonwealth Bank는 호주에서 최대 은행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, 손쉽게 현금인출기를 발견할 수 있으며,
은행 업무 시간 후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넷뱅크나 폰뱅킹으로 24시간 은행 업무가 가능함.
- 급여나 기타 직접 입금 금액을 Smart Access 계좌에 바로 입금되도록 하고 또한 Smart Access 계좌를 다른
Commonwealth Bank 계좌로 연결하여, 넷뱅크, 폰뱅킹, 현금인출기를 통해 손쉽게 자금을 이용하고 이체할 수 있음
※ EFTPOS (Electronic Funds Transfer at the Point of Sale)란?
상품 판매와 동시에 은행계좌이체로 대금을 이체하는 것으로 은행이 예금주를 대상으로 발급한 체크카드 소지자가
판매점 (슈퍼마켓, 주유소, 일반상점)에서 이 카드를 사용하여 제품을 구입하면 판매대금이 예금주 계좌에서 판매점
계좌로 자동 결제되는 시스템 (단, 예금주는 계좌 잔액을 미리 확인해야 함)
ㅇ 현금 투자 계좌 (Cash Investment Account)
- 현금 투자 계좌는 여유 자금이 있을 경우 돈을 늘릴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임. 저축하고자 하는 날짜와 금액만 정하면
나머지는 은행에서 처리함. 일일 이자 수익률이 높은 편이며, 이자는 매일 계산되어 월 단위로 적립됨. 현금인출기,
넷뱅크, EFTPOS, 폰뱅킹을 이용하거나 Commonwealth Bank의 어느 지점이라도 방문하여 돈을 찾을 수 있으며
또한 계좌별 수표책이 제공됨
▣ 은행 구좌 개설 시 유의점
ㅇ 호주는 은행구좌 개설 시 즉시 카드나 통장을 발급해 주지 않음. 계좌 개설 후 2주 가량 경과 후 현금카드와
PIN NUMBER가 우편으로 발송되며, 발급된 카드는 은행 사이트에 등록을 받아야 사용이 가능함.
ㅇ ATM 사용 시 주의점 : 호주는 ATM 사용 시 비밀번호를 3~5회 이상 잘못 입력할 경우 카드가 기계 밖으로 나오지
않도록 되어있음.
이 경우에는 카드 재발급을 받아야 하나 구좌번호를 알고 있을 경우 현금 인출은 가능함
라. 현지 도움처
▣ NSW Community Relations Commission
ㅇ 전화 : 1300 651 500 / 팩스 : 8255-6711
ㅇ 주소 : Level 8, 175 Castlereagh St. Sydney NSW 2000
ㅇ 홈페이지 : www.crc.nsw.gov.au
▣ 보증금 분쟁 조정 및 소비자 구제 신청
ㅇ NSWFair Trading Center:
ㅇ 133-220 (한국어 통역사 연결을 위해서는 131-450)
ㅇ Queensland Government Office of Fair Trading:
ㅇ 131-304 (한국어 통역사 연결을 위해서는 131-450).
▣ 임금 체불 조정신청 : NSW Office of Industrial Relations
ㅇ 홈페이지 : www.industrialrelations.nsw.gov.au
ㅇ 전화 : 131-628 (한국어 통역사 연결을 위해서는 131-450)
▣ 시드니 소재 주요 병원
ㅇ Sydney Hospital : 02-9382-7111/7320
ㅇ 8 Macquarie St. Sydney NSW 2000
ㅇ Royal Prince Alfred Hospital : 02-9515-6111/6133
ㅇ Missenden Rd, Camperdown NSW 2050
▣ 한인들을 위한 무료 법률 상담 (주시드니총영사관과 한-호 변호사 협회)
ㅇ 내용 : 법률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인 (워킹홀리데이비자소지자 포함)을 대상으로 하는 일회적 상담
ㅇ 시간 : 매달 첫째 화요일, 18:15~21:15
ㅇ 장소 : 주 시드니 총영사관
ㅇ 대상 상담 분야 : 신용불량 및 채무관계, 경미한 형사 사건, 벌금, 교통 사고, 고용, 소비자 불만, 차별,
미성년자 관련 가족법 문제, 범죄 피해자 보상
ㅇ 예약
- Step 1 상담예약요청 : 성함, 연락처 (휴대폰 등), 상담 희망 내용을 이메일 (koreanlegalservice@gmail.com) 또는
음성메시지 (02 8078 4608)에 설명
- Step 2 상담시간통보 : 예약 요청을 받은 다음, 금요일 오후 2~4시 사이 상담 요청자에게 전화 또는
이메일로 상담시간 통보
▣ 지역별 한인회
ㅇ 시드니 02-9798 8800
ㅇ 퀸스랜드 07-3393 0024
ㅇ 골드코스트 0433 513 782
ㅇ 캔버라 0430 096 401
ㅇ 남부호주 08-8373 0497
ㅇ 빅토리아 03-9886 6465
ㅇ 서부호주 08-9358 6077
ㅇ 타즈마니아 (한인회 미결성) 03 6223 7292 (제일교회 : 강기원목사님)
자료: 워킹홀리데이인포센터
CONTACT US
|
"Your Success is INSIGHT UHAK's Success"
COPYRIGHT(C) INSIGHT UHAK ALL RIGHTS RESERVE